부석사, 아름다운 절
- 지금 여기, 우리네 공간 -
부석사, 아름다운 절
백두로부터 이어진 태백산과 소백산의 기슭, 경상북도 영주 봉황산에 고요하고 아늑하게 자리 잡은 그 아름다운 절은 바로 화엄종찰인...
커피 콘테스트 우승의 영광을 차지한 ‘카페 발타자르’
비엔나에 거주 중인 커피 애호가라면 모두들 한번쯤은 방문하거나 들어본 적이 있었을 카페 발타자르는 시내 중심가에서 살짝 벗어난 2구, 프라터슈트라세에 위치하고 있다.
비너 슈타트 매거진인 “슈타트베칸트(Stadtbekannt)”에서...
비엔나 카페에서는 자허토르테만 있는게 아니라는 것!
우리에게 “비엔나 카페” 라고 하면, 흔히들 “자허 토르테” 와 “비엔나 커피”를 떠올리기 십상이다.
비엔나 커피로 가장 많이 알려진 커피 종류는 멜랑쥐와 아인슈패너.
그렇다면 비엔나 카페에서는 자허토르테와...
아름다운 호수 마을 – 슬로베니아 블레드
빈에서 기차로 5시간 30분 정도면 도착하는 “블레드“는 슬로베니아의 북쪽에 위치한 호수 마을이다. 이곳은 비록 작은 마을이지만 슬로베니아에서 가장 많은 여행객이 몰리는 곳으로 유명한 휴양지이다....
훈민정음이 반포된 10월 9일, 한글날
당신은 혹시 ‘영어의 날’ 혹은 ‘독일어의 날’이라는 말을 들어본 적이 있는가? 내가 어릴 적에는 세계 각국의 사람들이 다 자신의 언어를 기념하는 기념일 하나씩은 가지고...
실크로드 66 – 노베르트 못쉬 박사 부부 실크로드 여행기
노베르트 못쉬 박사 부부는 한국에 여러 번 다녀 왔지만 2018년 봄에는 다른 방법을 택했습니다. 빈에서 서울까지 약 14시간 비행기로 가는 대신 3개월 반에 걸쳐...
자연과 역사, 문화가 공존하는 도시 ‘즈노이모(Znojmo)’
즈노이모(Znojmo)는 체코의 남부 모라비아 지역에 있는 도시로, 빈에서 겨우 83Km 떨어져 있는 도시이다. 오스트리아 국경에서 가까워 빈에서 출발하는 버스로 1시간 10분이면 이 작은 마을에...
오스트리아 백배 즐기기 – 블루마우 리조트
무더웠던 여름, 아쉬웠던 가을을 지나 어느새 겨울이다. 추운 겨울에 떠나기 좋을 오스트리아 여행지로 빈에서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한 온천 휴양지를 소개하고자 한다.
이번에 소개할 온천...
비엔나의 카페를 찾아서 – Café Ritter
언제나 북적북적한 사람들로 시장통을 이루는 마리아힐퍼를 다니다보면 모던한 스타일의 건물들과 옛 스타일의 건물들이 한 거리에 함께 서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현대와 과거가...
[오스트리아 역사 이야기] 오스트리아 노벨상 수상자 – 1편
노벨상은 다이너마이트의 발명가인 스웨덴의 알프레드 노벨이 작성한 유언에 따라 매년 인류의 문명 발달에 학문적으로 기여한 사람에게 주어지는 상이다. 1901년부터 시작된 이 상은 물리학상, 화학상,...
고구려 양만춘 장군과 당 태종의 대결 – 안시성 전투
외국에 살면서 안타까운 점 중에 하나는 한국의 문화 트렌드에서 언제나 조금 뒤쳐진 느낌을 받는다는 것이다. 어떤 예능 프로그램이 인기를 끌며 이러저러한 신조어를 만들어 냈다던가,...
프란츠 2세와 오스트리아 제국
프란츠 2세는 신성 로마 제국의 마지막 황제이자 오스트리아 제국 최초의 황제이다. 본명은 프란츠 요제프 카를 (Franz Joseph Karl)이며,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로는 프란츠 2세,...
오스트리아 – 헝가리 제국
역사적 배경
오스트리아-헝가리제국은 1867년부터 1918년까지 존재하였던 국가이다. 합스부르크 왕가의 기를 사용했던 이 제국은 역사적으로 처음이자 마지막이었던 유일한 이중제국이다. 오스트리아제국은 1806년 신성로마제국의 황제인 프란츠 2세가 나폴레옹에...
퇴계 이황, 만대의 사표
- 우리네 큰 어른 -
退溪 이황, 萬代의 師表
퇴계는 뉘인가? 당대에도 그 이름 널리 떨쳤을 뿐 아니라 오늘날 우리의 가까이, 한국은행의 천원권 지폐 속에 계시니 도처에서...
[한국문화원] ‘신년대길’-서공임 민화전 빈 한국문화원에서 열려 (3월 22일까지)
한국 민화작가 서공임 초대전 ‘신년대길’개막식이 지난 1월 12일 비엔나 주 오스트리아 한국문화원(원장 임진홍, 이하 문화원)주최로 함상욱 주 오스트리아 한국대사등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이번 전시는...
주오스트리아 한국문화원 개원 1주년 기념행사 개최
주오스트리아 한국문화원(원장: 임진홍)은 창립 1주년을 맞이하여 기념 행사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에는 피아니스트 윌리엄 윤, 국악 연주자 김보성(장구), 소솔이(창, 무용), 윤주연(대금) 등 유명 예술가들이 참여하여...
8월 26일부터 시작되는 Wiener Festwochen 2020
오스트리아 빈의 가장 큰 문화 페스티벌 중 하나인 비너 페스트보헨(Wiener Festwochen)이 달라진 모습으로 우리를 찾아온다.
올해 비너 페스트보헨(Wiener Festwochen)은 오스트리아 정부의 코로나 방침을 준수하며, 8월...
[행사안내] Karos X MDW Percussion Ensemble 연주회 – “울림, 그리고 어울림...
Karos X MDW Percussion Ensemble - "울림, 그리고 어울림With 서울"
일시: 2024년 10월 31일 (목) 오후 5시 30분
장소: Joseph Haydn-Saal (MDW내, Anton-von-Webern-Platz 1,...
[문화계 기별] Neujahrskonzert 2021 mit Riccardo Muti
- 문화계 기별 -
공연 소식
오는 2021년 1월 1일, 80여 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빈 신년음악회가 이 시대의 마에스트로 리카르도 무티의 지휘로 개막될 예정이다.
매해 신년의 벽두를 슈트라우스...
오스트리아 빈의 모네와 피카소, 우리말로 해설 듣는다
알베르티나 박물관, 우리 외교부 지원받아 한국어 음성 안내 개시
이제 우리나라 사람들도 오스트리아 빈의 대표적 미술관인 알베르티나 박물관에서 모네의 ‘수련이 있는 연못’과 피카소의 ‘초록색 모자를...
[한국문화원] 주오스트리아 한국문화원, 유엔여성협회 한국문화 체험 행사 지원
주오스트리아 한국문화원(원장 임진홍, 이하 문화원)에서는 지난 3월 6일 유엔여성협회 (United Nations Women's Guild) 친교 행사가 개최되었다. 유엔여성협회는 주비엔나 유 엔 본부에서 근무하는 직원들의 배우자들이...
[문화계 기별] SOMMERNACHTSKONZERT 2020
- 문화계 기별 -
공연 소식
오는 18일, 매해 여름밤을 아름다이 수놓았던 쇤부른에서의 Sommernachtskonzert가 열린다. 빈필은 어려운 현 시국에 긍정적 시그널을 보내고 싶다 전했고, 방역을 위하여 지난해와는...
[K-KULTUR] BTS 콘서트에서 만난 오스트리아의 K-POP
3월 12일 토요일 한국 시간 저녁 6시, 유명 K-POP밴드 방탄소년단(이하 BTS) 콘서트 <BTS PERMISSION TO DANCE ON STAGE - SEOUL> 2회차 공연이 서울 잠실...
[문화계 기별] 전시 소식
- 문화계 기별 -
전시 소식
지난 7일부터 봉쇄령이 부분 완화됨에 따라 오스트리아의 미술관과 박물관은 다시금 문을 열어 방문객을 맞이하고 있다. 다가온 올겨울의 미술계 소식을 전한다.
Leopold Museum
레오폴드...
[오스트리아 백배 즐기기] 멜크 수도원 – Stift Melk
빈에서 차로 1시간 거리, 동쪽으로 약 80km 떨어진 멜크 수도원은 니더외스터라이히주(Niederösterreich) 멜크에 위치한 베네딕도회 수도원이다. 유럽 최대의 바로크 양식 건물이며, 로마 가톨릭의 본거지로 종교개혁에...
사군자, 선비의 향기 · 蘭
- 우리네 아름다움 -
사군자, 선비의 향기 · 蘭
芝蘭生於深林 不以無人而不芳
君子修道立德 不爲困窮而改節
난은 깊은 숲에 나 살아감에
아무도 없다하여 향기를 아니 내뿜지 아니하고
군자는 도를 닦아 덕을 세움에
처지가 곤궁하다 하여 절개를...
주한 오스트리아 대사, 주오스트리아 한국문화원 방문
지난 2월 7일 오전, 주한 오스트리아 대사 볼프강 앙거홀처(Dr. Wolfgang Angerholzer)가 주오스트리아 한국문화원을 방문했다.
이날 앙거홀처 대사는 임진홍 문화원장 및 실무진들과 함께 면담을 나누며, 한국과...
주오스트리아 한국문화원 브루크너, 쇤베르크 탄생 기념 2번째 음악회 개최
주오스트리아 한국문화원(원장 임진홍)은 지난 4월 22일 안톤 브루크너 탄생 200주년과 아놀드 쇤베르크 탄생 150주년을 기념하여 'Lieder ohne Worte'라는 테마로 콰르텟 울림과 함께하는 음악회를 개최했다.
콰르텟...
정제된 구조 장엄한 공간, 종묘
- 지금 여기, 우리네 공간 -
整齊된 구조 莊嚴한 공간, 宗廟
조선을 건국하고 지금의 서울 땅에 수도를 천도하며 가장 먼저 지은 건물, 조선의 역대 임금과 왕후...